(1) 감쇠
감쇠는 링크를 따른 신호 손실을 측정한 것입니다. 감쇠는 전원 케이블의 길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신호 감쇠도 증가합니다. 감쇠 단위는 "db"이며, 이는 소스 송신단의 신호 강도와 수신단의 신호 강도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감쇠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적용 범위의 모든 주파수에서 감쇠를 측정해야 합니다.
2) 근단누화
누화는 근단 누화와 원단 누화(FEXT)로 구분됩니다. 테스터는 주로 NEXT를 측정합니다. 라인 손실로 인해 FEXT 크기의 영향은 작습니다. NEXT(근단 누화) 손실은 UTP 링크의 한 쌍의 전선에서 다른 쌍의 전선으로의 신호 결합을 측정합니다. UTP 링크의 경우 NEXT는 핵심 성과 지표이며 정확하게 측정하기 가장 어렵습니다. 신호 주파수가 증가하면 측정의 난이도도 높아집니다. NEXT는 Near End Point에서 발생한 Crosstalk 값을 나타내지 않고 Near End Point에서 측정된 Crosstalk 값만 나타냅니다. 이 값은 케이블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케이블이 길수록 값은 작아집니다. 동시에 송신단의 신호도 감쇠되고 다른 쌍에 대한 누화는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실험에 따르면 40미터 이내에서 측정된 NEXT만이 더 현실적입니다. 반대쪽 끝이 40미터보다 먼 정보 소켓인 경우 어느 정도의 누화가 발생하지만 테스터는 이 누화 값을 측정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두 끝점 모두에서 NEXT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테스터에는 해당 장비가 장착되어 있어 링크의 한쪽 끝에서 양쪽 끝의 NEXT 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3) 직류저항
TSB67에는 이 매개변수가 없습니다. DC 루프 저항은 신호의 일부를 소비하여 열로 변환합니다. 한 쌍의 도체 저항의 합을 나타냅니다. 11801 사양의 연선의 DC 저항은 19.2Ω보다 커서는 안 됩니다. 각 쌍 사이의 차이가 너무 커서는 안 됩니다(0.1ohm 미만). 그렇지 않으면 접촉 불량을 나타내며 연결 지점을 확인해야 합니다.